우리말 19

blight,blunder,screw up | 범어 √ वृ [vṛ],√ कृ [kṛ]

'레미'님의 blight, blunder, screw up에 대한 보충설명이니 간단히 하겠습니다. 대표사진 삭제 © GraphicMama-team, 출처 Pixabay 산스크리트의 원형어근집(Whitney's roots scan)에 나옵니다. √ 1 वृ [vṛ] : 'cover' - 흐리(게하)다; 덮다; 막다 | 출처 입력 blight,blind = [vṛ]흐릿 + 눈(시야),, baricade = [vara] + [cad, cat],, [vara] - enclosing ▶ stop and check,, [cad, cat] - to hide one's self from ask(캐다,캐묻기) √ 2 वृ [vṛ] : 2.'choose'- 부르다; 바라다 | 출처 입력 'choosing' 'chooser..

우리말 2021.05.23

범어 बर्बर barbara(वर्वर varvara)에서 온 바바리안(barbarian)

1️⃣व [va]: air, wind, blow(불기, 소리내기) 2️⃣वर [vara]: 1.'environing','enclosing', circumference, space, room; 둘러싼것, 환경, 공간, 여지 >>>후대에 stopping, checking 의미로 발전됨.? [vara]: 2. 'choosing' 'chooser'> election> wish> request> bridegroom(신랑)> dowry-신부(딸)의 지참금 [vara]: etc... saffron(샤프론,향수), bdellium(미류myrrh나무과에서 나는 고무수지,보석)... ※)वरम् [varam]- preferably, it's better that, it would be best if; 바람(직한),, वर..

우리말 2021.05.22

(돌이나 말을)헛바루 던지다, hurl

hurl 은 '마구(막,헛바루) 던지다' 가 아닐까 생각합니다. 산스크리트 어원집에 [hur],[hru],[hvṛ] = 'be or make crooked' 라고 나옵니다. ह्वृ [hvṛ /흐쁘뤼] - to deviate or diverge from the right line, be crooked or curved, bend, go crookedly or wrongly or deviously, stumble(헛디디다), fall, down, [hvṛ] 는 [ㅎㅃㄹ]/[헛•바루]이며, [hur],[hru] '흐루' '허루' '흐릇'의 기준형(사전의 제시에 따르면)입니다. 헛바루(to deviate or diverge from the right line) 던지는게 hurl이고, 사람들에 험한말을 헛바루(..

우리말 2021.05.20

갑골문-낮을 비,,시종 비?

卑자는 ‘낮다’나 ‘천하다’, ‘비루하다’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. 卑자는 이외에도 다양한 뜻이 있는데, 대부분이 신분이 낮다는 것을 뜻한다. 卑자의 갑골문을 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. 갑골문에 나온 卑자를 보면 又(또 우)자와 田(밭 전)자가 결합해 있었다. 이것은 큰 부채를 들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. 이렇게 큰 부채는 시종이 주인을 모실 때 사용하던 것이다. 그래서 卑자는 부채를 들고 있는 시종의 신분이 낮다하여 ‘낮다’나 ‘천하다’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.

우리말 2021.05.18

열반 = Nirvana = '必殺技(필살기)'

?스페인노래 Primero의 "Oh Que Calor" ? 1️⃣ kha(ख) m. the sun,, "que calor" ="what a heat!"; "so hot"= "꽤 따갑당께로">,, ca 는 산스크리트어의 kha(ख)이고,, 산스크리트어가 지중해를 넘어갈 때 k > c 로 바뀝니다. 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— a가 장모음(ā)일때 : 2️⃣ khā(खा) (작은)구멍, 목구멍, 화살맞은 상처, 구멍파기,, "콱 버려라" 할 때, '가' 가 khā(खा) 죠. ➖➖ ➖➖ ➖➖ ➖➖ ➖➖ ↪ '담'은 산스크리트어로 인데,, '담브'나 '다브' 둘다 원형√어근으로 'harm(해끼치다,손상시키다)' 뜻입니다,, ① dambh(दम्ब्ह्): 'harm',, (✅격변화에 따라 뜻이 진화..

우리말 2021.05.12

나스지마, 점수 나써, 다 나삿다

[어근 '나ㅅ']: - 1.(앞으로)나아가다(나서다,점수 났어) vs 나사가다(나서다,점수 나써),, 2.(병이) 나았다 vs 나삿다(나사타) ————— ————— 어원은 Sanskrit(범어)에서 찾아야쥬~ ➖➖➖➖➖➖➖➖➖➖ नश् √1. naś - 'attain' नश् √2. naś - 'be lost' ➖➖➖➖➖➖➖➖➖➖ 1️⃣ naś or naṃś - to reach, attain, meet with, find naś = [라틴 nac-tus sum ; 리투아니아nészti ; 슬라브 nesti ; 고트 ganâhs ; 독어 genug ; 앵글로색슨 genâh; 영어 enough. ]와 같다고 나옴. // 유의어로는 : 1. अश् [aś] -to reach, come to, reach, co..

우리말 2021.05.12

고인돌과 산스크리트어원집 29page

?고인돌과 | Whitney's Roots page-29? 힘들게 엄청난 크기의 고인돌?을 세운 이유는?,, 고인돌 연대측정(우리껀 5500년전)으로 서열 정리 ? 고인돌도 우리 kṣi(possess)다. 우리 kṣi 최고여❗ ————— ————— ※) 네이버 국어사전에 '끗끗내' 입력하면,, 부사[방언] '끝끝내'의 제주(방언),,이라 나옵니다. ~만,, '끗(kṣi)끗(kṣi)내' 가 맞죠. 전통 사투리가 산스크리트어고,, 표준화정책은 우리말 사투리를,, 산스크리트어사전에서 kṣip(throw)어 내(away)려는 거죠. ————— ————— 세계언어의 뿌리이면서 우리말 각 지방 사투리인 범어를 안쓰고,, 친일국어학자들이 제안한 표준말로 바꿔치기를 계속하면,, 우리언어는 kṣī 죠.? 한글 표준화정책..

우리말 2021.05.11

삥-두비-쌈, 투르크-[bir], 범어 - वी [vī]

구글 번역기로, // 1-one,2-two,3-three,4-four,5-five,6-six,7-seven,8-eight,9-nine,10-ten, // 모든 언어를 해 보았습니다. 우리 형제국가인 나라들(투르크족)이 쓰는,, 터키어, 아제르바이잔어,투르크멘어(투르크메니스탄+우크벡_아프가니스탄)만,, 1을 [bir]라 발음하였습니다. [ek]나[un],[이찌],[이~]가 아닌 [비~],, ————— ———— ——— —— — ————— ———— ——— —— — ?어원추적?산스크리트어(범어): वी [vī] : Whitney's Roots 사전에 √vī = ' enter ' 라 나옵니다. 출발? वी [vī] 의 Monier-Williams Sanskrit-English Dictionary 1899(옥스포드..

우리말 2021.05.05

스미다,어원과,사맛다,사무치다,의 이해

✨ '​스미다'의 산스크리트 어원 ; ​ स्मृ [smṛ] (ㅅ뮈ㄹ,ㅅ무이ㄹ ) - 'remember' ; ① to remember, recollect(애를써서-기억해내다,끄집어내다), bear in mind(마음에-새기다), **call to mind(불러일으키다,상기하다), think of, be mindful of(대책을 염두에 두다); ②to remember or think of with sorrow or regret; ​to remember or think of(추억을 생각하며),weep sorrowfully or regretfully(서러워하기) ✨[ㅅ뮈ㄹda ]는 기억가지고,, ①맘속에 새기고, 끄집어내고, 연상시키고, 대책에 유념하고,, ②그로인해 서러운 회한이 들기,,✨ 예1️⃣) [나..

우리말 2021.05.03

aś아~?,, 점수 naś어 ?,,da~?,, naś아따?

어원은 Sanskrit에서 찾아야쥬~ नश् √1. naś - 'attain' नश् √2. naś - 'be lost' 1️⃣ naś or naṃś - to reach, attain, meet with, find naś = [라틴 nac-tus sum ; 리투아니아nészti ; 슬라브 nesti ; 고트 ganâhs ; 독어 genug ; 앵글로색슨 genâh; 영어 enough. ]와 같다고 나옴. // 유의어로는 : 1. अश् [aś] -to reach, come to, reach, come to, arrive at, get, gain, obtain; "아싸!" - 득템에 성공했을 때 하는 말이쥬? 2. [nakṣ ] to come near, approach, arrive at, get, att..

우리말 2021.04.26